지인이 아이들을 가르치는데,
영어 문법 초4때 보통 들어가야 하고,
초 5때까지 동사구분 못하면 솔직히 그 아이 입시는 끝났다고 보면 된다..
초고때 고등수학 한 바퀴 돌려야 하고 사회 과학도 배워야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초저때 아무리 문법 공부해도 소용 없고
그 감은 초3때부터 생기는데,
영어책을 많이 읽어야 겨우 생기는거다.
영유를 나와도 못하는 아이들 정말 많고
영유를 나와 좋은 점은 말하기에 자신이 있다는 점?
그것마저도 초5 때 다 사라진다..
요새 입시가 많이 바뀌어서 감이 잘 안 잡혀서요
저와 남편은 부끄럽지만 고등학교 때부터 공부를 열심히 해서
좋은 대학교에 간 케이스에요
수시는 안 좋았지만 정시로 간 케이스고요.
요새는 영어 서술형이 중고등 수시에 들어가서
초등학교부터 달려야 하는 분위기인가요?
정시로 들어가도 수시가 대학입학에 영향을 주기에(수능 최저)
한끗 차이로 대학 입학이 어려워질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아이들 중학교 때 사춘기 많이 겪는데,
초딩 때 열심히 해도 중딩때 놀다가 고딩때 열심히 할 수도 있잖아요
요샌 탈선하는 아이들도 없는 건지.
제가 너무 물정을 모르는 지도요
궁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