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동양인의 피부색

저 아래 양궁 선수들 얼굴 하얗게해서 프랑스인들한테 부끄럽다느니 그치들이 얼마나 비웃느냐고 해서요. 

요즘 K-Pop 문화가 세계에 나가면서 아시아인들이 무슨 백인되기를 바라는 마냥 그래서 얼굴 허옇게 (ghostly white) 화장한다고 폄하하는데. . 이게 다 서양인들이 만들어 놓은 피부색 프레임에 갇혀 있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그냥 우리 피부색대로 살아가는 거예요. 

 

 

피부색 지도

https://www.clien.net/service/board/park/14374497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singlebungle1472&no=404181

 

동아시아인은 어떻게 ‘황인종’이 되었나

출처:  https://www.hani.co.kr/arti/culture/book/753395.html

 

마르코 폴로가 구술했다는 <동방견문록>에서 중국인은 ‘백인’으로 묘사되고 있다. 18세기 선교사들이 남긴 기록에도 일본인을 비롯한 동아시아인의 피부는 분명 흰색이었다. 그런데 19세기 들어 슬그머니 ‘노란’(yellow)색으로 대체된다. 여행기, 과학 담론은 물론 예술 작품들에서도 동아시아인은 황색 피부를 가진 사람들로 그려지기 시작했다. 대체 그사이에 무슨 일이 벌어진 것일까.

 

중략

 

동아시아인들의 얼굴에 ‘노란색’ 딱지를 붙인 첫 ‘용의자’로는 저 유명한 칼 폰 린네(1707~78)가 지목된다. 그는 아시아인의 피부색을 어둡다는 뜻의 라틴어 ‘푸스쿠스’(fuscus)로 표현했다가 1758~9년 간행된 <자연의 체계> 제10판에서는 ‘루리두스’(luridus·연황색, 창백한)로 구체화했다. 린네가 칠해놓은 색깔을 넘어 ‘몽고성’(mongolianness)이라는 전혀 다른 차원의 낙인을 찍은 이는 요한 프리드리히 블루멘바흐(1752~1840)다.

 

비교해부학의 창시자로 알려진 이 독일 동물학자는 동아시아인의 피부색을 ‘연노랑’(gilvus)로 규정하는 데서 그치지 않고, 한 걸음 더 나아간다. 유럽인들에게 불길하고 위협적인 이름들, 즉 아틸라와 칭기즈칸, 티무르를 즉각 연상시키는 몽고를 끌어다 붙인 것이다. 처음엔 낯설었지만, 동아시아를 다녀간 여행자들이 현지인들을 황인으로 지칭하는 사례가 점차 늘어나면서 “‘황인종’은 19세기 인류학의 핵심 요소로 자리 잡았다.”

그러나 노란색 낙인에는 차별과 배타, 폭력이 응축돼 있다. 세상에 순백인, 순흑인이 없는 것처럼 ‘샛노란’ 사람도 없다. 그럼에도 서구인들은 피부색을 ‘창조’하고, 몽고눈·몽고점·몽고증(다운증후군)을 새로이 ‘발명’해 황인종을 비정상의 대명사로 만들었다

최근 많이 읽은 글

(주)한마루 L&C 대표이사 김혜경.
copyright © 2002-2018 82cook.com.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