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까지 살아오면서
가장 행복했던 순간을 한 번 떠올려 보세요.
어떤 학생 중에 이런 학생들이 있었죠.
어렸을 때 엄마 아빠와 같이
남해안 바닷가에 놀러 갔던 경험을 얘기하는
그런 학생이 있었어요.
또 어떤 학생은 그거 말고
자전거를 처음 배울 때 경험이라든가
행복했던 어떤 순간들이 사람마다 있어요.
그런데 처음에 학생들에게 그것을 써보라고 하면
학생들이 대부분 마치 영화를 보는 것처럼 씁니다.
저기 내가 걸아가고 있고 누구를 만났고
바다에 들어갔는데 멀리 구름이 떠 있었고
엄마 아빠가 사건 중심이죠.
엄마 아빠가 매운탕을 끓였는데 맛있었고 이렇게 씁니다.
그런데 제가 오감을 이용해서 쓰라고 하면
학생들이 처음에는 어려워하지만 곧 적응하죠.
어떤 거냐면 이런 거예요.
멀리 바닷가에 갈매기가 떠 있는데
갈매기가 끼룩끼룩 우는 소리를 들었고
바다에 들어갔을 때
물이 종아리에 닿는 느낌이 차가웠고
그런데 조금 더 들어가니
해초가 내 발을 핥는 것이 느껴졌다.
그러자 내 동생이 와서 나를 물에 집어넣었고
그때 마셨던 바닷물이 아루 짰다는 거예요.
학생들에게 이 글쓰기를 시켜보면
학생들이 정말 몰입한다는 걸 알 수 있어요.
나중에는 그때 경험 속으로 완전히 들어가버려요.
그냥 시각을 이용했을 때와는 다릅니다.
이렇게 감각이 경험과 이어지는데요.
이 경험이 예술 행위, 글쓰기 같은 행위를 통해서
우리의 감각을 더 일깨울 수 있어요.
그래서 이 글쓰기를 하고 나서 학생들에게 물어보면
그 뒤에는 일상을 살아갈 때도
다섯 가지 감각을 다 떠올린다는 거예요.
이렇게 감성 근육을 조금 더
단단하고 강하게 만들어주는 것이죠.
육체 근육이 발달한 사람은 같은 양의 음식을 먹어도
기초대사량이 높아서 살이 잘 안 찐다고 하잖아요.
감성 근육이 발달한 사람 역시
더 많은 것을 느끼면서도
정신이 그렇게 부담을 느끼지 않습니다.
잘 느낀다는 건 그렇다면 왜 중요할까요.
안 느끼면 되잖아요 바쁜데
저는 이렇게 생각하는데
잘 느끼는 사람은 남의 의견에 잘 휘둘리지 않아요.
자기 느낌이 있잖아요.
이 느낌이라는 것은 우리가 지식으로 아는 것과 다릅니다.
내가 정말 느꼈기 때문에
훨씬 더 강력하게 그것을 주장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와인을 전문적으로 테이스팅 하는 사람들은
대중의 의견을 듣고 와인을 고르지 않겠죠.
마찬가지로 평생 음악을 사랑하고 들어온 사람이 있으면
자기 취향이 생기죠.
이런 사람은 다른 사람 별점 보고 콘서트 가고 그러지 않아요.
저 역시 인터넷 서점에 들어가서 책을 고를 때
별점이라든가 리뷰를 거의 보지 않아요.
왜냐하면 저는 한 작가의 책을 읽고
그 작가가 저에게 어떤 즐거움을 주었다면
그것을 기억하면 돼요.
그러면 그 작가가 새로운 작품을 내면 그것을 삽니다.
그런데 그 작가가 저를 실망시키면
역시 그것은 제 몸에 제 육체에 새겨집니다.
그런데 이런 것들이 쌓이고
저는 이것을 '느낌의 데이터베이스'라고 부르는데요
자기 느낌의 데이터베이스가 풍부한 사람은
대단히 확고한 의견을 갖게 됩니다.
이런 사람들은 아까 제가 말씀드린
집단의 의견에 크게 좌우되지 않는 것입니다.
김영하 작가가 한 말인데
정말 공감하게 되네요.
부자는 어떤하다 저떤하다
는 글을 보면서
자기 '느낌의 데이타베이스' 없이
자기 감각을 오직 시각적인 걸로만
꽉~채워서
거기에 주인공은 내 자신이 아닌
부자들이 주인공인
그런 것만 보다보면
내 자신은 도대체 어디에 있게 되는 걸까 싶어요.
나는 없고 부자들만 있는 세상에서
나는 투명인간처럼 그 세상을 관찰하면서
사는 거죠.
내가 주인공이 아닌 그냥 투명인간 관찰자로
내 자신을 그렇게 방치해 두는 것이
과연 괜찮은 것인가
하는 생각을 한번 해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