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번 읽어 볼 만한 내용이라고 가지고 왔습니다.
“ 불교에서 말하는 행복은 즐거움이 아닙니다 . 대부분의 사람들이 즐거움을 행복이라고 생각합니다 . 즐거움이 행복이라고 생각하면 그런 행복에는 반드시 괴로움이라는 불행이 ᄄᆞ라다닙니다 . 이렇게 즐거움과 괴로움이 되풀이되는 것을 ‘ 윤회 ’ 라고 합니다 . 즐거움을 행복으로 삼아 추구하면 마치 물체에 늘 그림자가 따르듯이 여러분들이 원하든 원하지 않든 괴로움이라는 불행이 항상 따르게 됩니다 .
불교에서 말하는 행복은 ‘ 열반 ’ 입니다 . 요즘 표현으로 한다면 ‘ 지속 가능한 행복 ’ 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 불행이 따르는 행복이 아니라 불행이 없는 행복을 열반이라고 합니다 . 이것은 곧 괴로움이 없다는 것을 말합니다 . 여러분들이 즐거움이 곧 행복이라고 생각하는데 그렇지 않습니다 . 괴롭지 않은 것이 행복입니다 . 건강을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 무엇을 건강하다고 표현 할 수 있을까요 ? 역도 경기에서 얼마나 무거운 것을 들 수 있는지 , 또는 100 미터 달리기에서 얼마나 빨리 달릴 수 있는 지 , 이런 것을 두고 건강하다고 표현하나요 ? 그건 건강한 게 아닙니다 . 대다수의 사람이 이미 건강합니다 . 왜 그럴까요 ? 아프지 않은 게 바로 건강이기 때문입니다 . 성인이라면 성인대로 , 어린아이라면 어린아이대로 , 장애인은 장애인대로 어떤 질환이 없으면 건강하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
아프지 않은 것을 건강이라고 하는 것처럼 행복은 괴롭지 않은 상태를 말합니다 . 그럼 괴로움이란 무엇일까요 ? 화나 짜증 , 미움이나 원망 , 근심이나 걱정 , 불안이나 초조 , 방황 , 이런 부정적인 심리상태를 괴로움이라고 합니다 . 배고 고프다거나 힘이 든다는 것은 괴로움이 아닙니다 . 그런 상황에서도 긍정적인 사고를 하면 괴로움은 일어나지 않습니다 . 이것을 괴로움이 없는 상태라고 합니다 .
어려움이 많이 생기면 이것을 통해 배우는 것이 많습니다 . 하지만 그 어려움을 싫어하면 그것은 곧 괴로움이 됩니다 . 어려운 일이 생기더라도 좋은 점이 있음을 알면 괴로움을 발생하지 않습니다 . 육체적 고통이 있더라도 마음은 괴롭지 않을 수 있습니다 . 여러분들이 친구들과 등산을 갔다고 해봅시다 . 등산하면 다리도 아프고 땀도 나죠 , 하지만 보통은 괴롭다고 하지 않습니다 . 중간에 쉬어 가면서 간식도 먹고 얘기도 나눕니다 . 그리고 다시 힘을 내어 올라갑니다 . 하지만 원전군장을 하고 훈련으로 산에 오른다면 마치 죽을 것 같잖아요 ? 두 가지 상황 모두 신체적으로 힘든 것은 같습니다 . 하지만 다른 점이 있다면 친구들과 등산하는 것을 자발적인 반면 훈련은 피동적이라는 것입니다 . 명령에 따라 어쩔 수 없이 한다고 생각하면 괴로워집니다 .
군인이 훈련을 피할 수 없다면 이런 상황에서 어떻게 해야 그 시간을 잘 활용할 수 있을까요 ? 그것은 긍정적 사고로 전환하는 겁니다 . 매사에 복종하라는 뜻이 아닙니다 . 훈련을 피할 수 있으면 그렇게 해도 됩니다 . 하지만 그럴 수 없다면 괴로워하면서 하는 것보다 즐겁게 하는 게 낫잖아요 ? 그래서 운동장을 뛸 때도 체력단련을 한다는 관점에서 긍정적으로 해야 합니다 . 수행이라는 건 꼭 명상을 하거나 108 배 절을 해야 하는 것이 아닙니다 . 수행의 핵심은 ‘ 긍정적 사고 ’ 입니다 . 주어진 상황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수행입니다 .
실수로 백 원의 손해를 보았지만 이를 통해 앞으로 천 원 손해 볼 일을 미리 방지하게 되었다면 백 원은 학습비라고 할 수 있습니다 . 학습비로 백 원을 지출했다고 생각하면 이번 손해는 더 이상 괴로움으로 남지 않습니다 . 쓰레기가 아니라 거름이 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이렇게 관점만 바꾸면 더 이상 과거에 연연하지 않고 늘 앞으로 나아갈 수가 있습니다 .
모든 존재는 다 존엄합니다 . 여러분들은 학교 교육에서 배운 질서라든지 , 우리 사회에 만연한 질서라든지 , 그런 질서들을 기준으로 자기 삶의 기준을 삼습니다 . 그 기준들보다 좀 더 위에 있으면 교만해지고 , 조금 밑에 있으면 열등하가고 느낍니다 .
그런 인생은 언제든 불행해질 수밖에 없습니다 . 그러니 돈이나 권력을 자기 삶의 기준으로 삼지 말고 , 항상 자기 마음을 살피며 주변을 평등하게 보는 관점을 가지시면 좋겠습니다 . 그러면 스스로 행복한 삶을 살면서 세상을 좀 더 아름답게 만드는데 이바지할 수 있습니다 .
요즘 청년들은 종교를 별로 안 좋아한다고 하죠 , 저는 그런 현상을 긍정적으로 봅니다 . 붓다의 가르침은 우리를 괴로움 없이 살아갈 수 있게 해줍니다 . 그리고 붓다는 나의 존재를 누구보다도 더 존엄하게 만드는 길을 제시해 주셨습니다 . 이것은 종교와 아무 상관이 없습니다 . 여러분들도 이런 점을 좀 더 자각해서 자신을 가치 있고 행복하게 가꾸어 나가셨으면 좋겠습니다 .“
법륜스님
긍정적인 생각이 정말 중요하다는 것은 알고 있었지만
막연히 그렇게 중요한 것인가? 라는 생각을 해 본 적이 있었는데
이 말씀을 읽어 보니까
아~ 괴로움도 괴롭지 않게 할 수 있는 거구나~라는
생각이 들더라구요.
매사에 괴로우면 힘들어서 살 수 없지만
이 괴로움을 괴롭지 않게 만든다면
그럼 행복한 상태라는 거잖아요.
괴로움을 긍정적으로 생각의 전환을 하면
괴로움이 없는 상태가 되고
괴로움이 없는 상태가 행복의 상태가 된 다는 거죠.
정말 간단하고도 쉬운 방법이 아닌가 싶어요.
그럼 매일매일 괴로움을 괴롭지 않게
생각의 전환을 하는
기적의 약품인 긍정적인 해석으로 하루하루 보낸다면
불행한 날이 없을 듯 합니다.
불행한 날이 적으면 적을 수록
내 인생을 돌아보았을 때
아~내 인생 나쁘지 않았구나~아니 좋았구나~라는 생각이 들게 되는거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