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청소에 대한 가족들 간의 개념 차이

큰 애가 늘 식탁에서 공부해요.

방에 자기 책상이 있는데 거기는 창고라고 하고.

늘 식탁에서 공부합니다.

식사할 때가 되면 제가 문제집, 자료들을 모아서

자기 책상에 가져다 놓던지, 한쪽에 쌓아 둬요.

그걸 가지고 오늘 난리난리를 치네요.

왜 식사를 하는데 치우고 먹어야 하냐고요.

 

가방도 늘 현관 복도에 던져둬요.

복도식 집인데 거실에서 방으로 갈 때마다

가방이 발에 채여요.

가방 걸이를 샀어요.

가방은 절대 걸어 놓지 않고

가방 꺼내는 데 불편하다고

가방을 바닥에 던져 놓을 권리를 주장합니다.

 

제발 걸어놓자.

너무 지저분하다고 하니

동의할 수가 없데요.

가방 걸이에서 가방 꺼내는 수고를

왜 하냐는 거에요.

 

남편은 딸 편만 들어요.

자기는 식탁에서 공부하면

밥은 바닥에서 먹어도 된데요.

 

남편도, 딸도 오로지 

자기 편의만 따지네요.

 

근데 둘은 제가 제 생각만 한데요.

왜 편하게 살면되지

그렇게 청소하고, 정리하냐고.

 

저 그렇게 청소에 목 매지 않아요.

밥 먹을 때 식탁 치우고,

옷은 옷걸이에 걸어 놓고,

가방은 가방 걸이에

그것도 안되면 방에다 넣어 두는 거

그게 어려운 일인가요?

 

전 식사 예절이 그 가족의 문화를

단적으로 보여준다고 생각해요.

 

생선 먹고 가시를 식탁에 그냥 퉤 뱉는 거

전 정말 너무 더럽다고 생각해요.

남편이 그래요.

어짜피 닦을 건데 무슨 상관이냐고요.

가시 뱉을 그릇을 가져다 놓아도요.

 

딸도 그래요.

 

쇼파에서 과자 먹고 봉지를

그냥 쇼파에 두고 일어나요. 

 

기본적인 습관, 위생, 정리개념 이런 게

안맞아서 너무 힘드네요.

 

제가 비정상인가요?

 

남편과 딸이 하는 행동이

딱 공대 자취생들 같아요.

 

남편은 바뀌지 않을 거고.

딸도 교육 시키기 힘들겠죠.

늘 남편이 딸 편을 드니.

제가 뭐라고 하는 것은

자기 원가족에 대한 모욕이라고 느낀다네요.

 

뭐 그렇게 오로지 공부만을 위해 달려온

인생을 살았기 때문에

남편 형제, 자매가 모두 명문대를 나오긴 했어요.

공부만 하면 어머님이 뒷감당은 다 해주셨지요.

 

그냥 제가 참고 살아야 하나요.

 

정말 가족 문화 수준이 

식사와 예절, 습관이 다른 사람과 

사는 것은 참 힘듭니다.

최근 많이 읽은 글

(주)한마루 L&C 대표이사 김혜경.
copyright © 2002-2018 82cook.com.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