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대학도 하향지원했는데
인생이 하향지원인데요
공부를 못한게 아닌데
저보다 못한애들이 이대 성대를 가는걸 보았으니까..
근데 전 저기보다 더 못한 곳에 갔고
담임샘도 다니면서 한번 더치라고하고
친구들도 아깝다고 하고
대학다닐때도 공부는 잘해서
동기들이 저더러 참 머리 좋다는둥 그런말도 하고
대학 교수님도 4학년때 서울대 대학원에 한번 도전해 보라고도 하고
근데 나따위가 그런데 갈수 있을까
그 고3때 마음이 다시 작동하더라구요
그런데서 날 받아줄까..에이..
이게 왜 그런 낮은 자존감 자신감이 들까
왜 나는 세상이 온통 높게만 보일까 생각해보니
부모님이 거의 무학이어서 식당일 막노동일을 하다보니
부모님의 세상을 바라보는 눈과 시선이
(초등중퇴자에게 세상이 참 두렵조..높은 봉우리처럼 보이죠)
고대로 저에게 옮겨진거더라구요..
전 대졸인데도 대졸자의 시선을 갖지 못했어요.
졸업후 학원강사로 성공한 동기를 보면서
아니 어떻게 자기도 공부안해놓고
무섭게 애들을 잡고 혼낼수 있을까..그 자신감이 궁금할지경..
학원강사면접을 보면서 나같은애를 뽑아줄까..그런 걱정...
난 유학파도 전공자도 아닌데..그러면서..
그러다 너무나 큰 용기를 내서 간 대학원에서
(그때 면접날 너무 너무 두려워서 도망가고 싶었어요.
그 두려움의 실체가 뭔지 모르지만)
좋은 교수님을 만나고 그분의 세상을 바라보는 시선과 가치관을
배우면서 그 무섭던 봉우리들이 이제는 낮아져 보이기 시작하더라구요..
결국 어떤 부모를 만나는지는 너무 중요하고
부모가 어떤 생각과 가치관을 가졌는지는
자녀에게 너무나 큰 영향을 줘요.
부모 삶 포함해서 내 삶이 되고
자녀 인생 포함해서 내 삶이 되요.
부모의 삶의 경험들이 고스란히 자식에게 전달되기 때문에
좋은 부모가 되려면 내가 먼저 나은 사람이 될 수밖에 없어요
자녀를 다그치기 전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