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ottranking.com/post/211193 (전문)
av산업에 대한 위험한 미화, 넷플릭스 '성+인물' 리뷰
(일부발췌)
넷플릭스 한국 오리지널 프로그램 <성+인물: 일본편>이 공개되면서 성인용 비디오(Adult Video) 산업을 묘사하는 방식에 대한 심각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AV 산업을 노골적으로 미화하면서 그 안에 만연한 인권 침해와 성 착취의 실제 문제를 무시하는 뉘앙스가 문제다. <성+인물>은 AV 산업을 마치 선진 외국 문화의 모범사례처럼 홍보하여 유해한 관행을 더욱 정상화하고 합법화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성노동자에 대한 인식 제고는 유익한 일일 수도 있겠으나 N번방과 불법촬영의 나라에서는 다소 이른 시도 아니었을까. 다소 이른 듯 보이는 이러한 시도는 위험한 함의를 내포한다. 미디어 소비에 있어 선정성과 이윤보다 인권과 윤리적 기준을 우선시하는 것이 우리 사회를 위해 더욱 바람직한 방향이 아닌가.
<성+인물>은 진행자 신동엽과 성시경이 성인용품점을 방문하고 AV 배우를 만나고 호스트바를 방문하는 등 전 세계의 다양한 성문화를 탐구하는 프로그램이다. 두 사람이 얼굴을 붉히면서 다양한 도구를 소개하거나 AV배우 체험을 하거나 인터뷰를 한다. 다루는 소재에 비해 기본적으로 전달하고자 하는 자세가 놀라울 정도로 낙관적이면서 흥미본위다. 이 프로그램은 AV 산업의 내부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할 수는 있지만, 그 안에 만연한 인권 침해와 성 착취라는 심각한 문제를 적절히 다루지 못하고 있다. 아니면 다룰 생각이 없거나.
건전하고 개방적인 성을 장려하는 것과 취약한 개인에 대한 착취로 악명 높은 성매매 산업을 장려하는 것 사이에는 상당한 차이가 있다. 자위나 섹스를 터부시하지 않고 우리들의 자연스러운 본능이라고 인정하는 것은 권장할 만한 일이다. 하지만 AV 산업과 호스트 산업을 선진 외국 문화의 한 형태로 제시하는 것은 과연 어떨까? ‘가부키쵸의 제왕’ 로랜드의 말 처럼 아무것도 없는 개인이 스타가 되기 위해서는 일본어를 배워 호스트를 해야 하는 사회가 좋은 사회일까. 이 프로그램은 유해한 관행을 더욱 정상화하고 합법화하는 데 부분적으로 기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