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지난 2021년 통계청의 가계금융복지조사를 활용해 9일 산출한 ‘2022년 빈곤통계연보’를 보면, 2020년 전체 인구 중 가처분소득 수준이 중위소득의 50% 미만인 인구 비율(상대빈곤율)은 15.3%였다. 이런 빈곤율을 인구유형별로 분석한 결과, 1인 가구의 가처분소득 기준 빈곤율은 47.2%로 전체 인구 빈곤율에 견줘 3배 이상 높았다. 가처분소득이란 가계가 소비·저축에 자유롭게 쓸 수 있는 소득으로, 시장소득에서 세금 부담 등을 제외하고 복지 지원 같은 이전소득을 보탠 것이다. 소득을 높은 순에서 낮은 순으로 나열했을 때 가장 중간값(중위소득)의 50%에도 미치지 못하는 이들을 보통 빈곤층으로 분류한다. 혼자 사는 이의 절반가량은 빈곤하다는 의미다.
1인 가구 빈곤율은 가처분소득 기준으로 2016년 54%, 2017년 52.1%, 2018년 52.7%, 2019년 51.8%, 2020년 47.2%로 낮아지는 추세지만, 여전히 50% 언저리를 맴돈다. 특히 혼자 사는 남성보다 여성의 경제적 어려움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가처분소득 기준 여성 1인 가구 빈곤율은 55.7%로 남성(34.5%)보다 훨씬 높았다. 나이가 많을수록 빈곤율도 올라갔다. 만 65살 이상 1인 가구의 가처분소득 빈곤율은 72.1%에 달한다. 소득 하위 70% 노인에 지급하는 기초연금 등을 가계에 보태도 10명 중 7명이 가난한 셈이다. 다만 2016년 빈곤율 78.4%보다는 6.3%포인트 낮아졌다. 가처분소득 기준 청년층(19~34살)·장년층(35~49살)·중년(50~64살) 빈곤율은 각각 20.2%, 19.5%, 38.7%로 집계됐다.
지난해 12월 통계청이 발표한 자료를 보면, 2021년 한국에서 혼자 사는 이들은 716만6천가구로 전년보다 7.9% 증가했다. 전체 가구 가운데 1인 가구가 차지하는 비중도 2005년 20%대에서 꾸준히 증가해 2021년엔 역대 최고치인 33.4%를 기록했다. 특히 1인 가구 가운데 60살 이상 비중은 34.5%로, 30대 이하 1인 가구(36.9%)와 비슷하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8/0002635007?sid=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