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심리학강의요약. 중년자녀와 노년부모의 갈등에 대해.

전통적으로 중장년과 노년으로 구분되는 시기는 60 세이나 현대 사회에는 통용되지 않는다고 해요 .

또한 노년이 길어진 요즘은 young old/mid old/old old 의 세 시기로 구분한다고 할수 있으며 , 

심리적으로는 스스로 노인이라고 생각하는 시기부터 노년이라고 할 수 있는데 

여러 정의에 따라 노년의 의미가 달라지므로 현대 사회에서는 노년에 대한 구분 자체는 중요하지 않게 됩니다 .

 

 

인생의 마지막을 잘 장식하기 위해 노년기에 꼭 해야하는 일은 “ 화해 ” 혹은 “ 용서 ” 입니다 .

인생이라는 여행을 지내며 , 나의 지나온 삶과 화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

속상하고 안타까웠던 마음 , 회한 등 여러 가지 감정을 그대로 마음속에 쌓아두고 간다면 

인생의 마무리를 준비할 수가 없습니다 .

삶 가운데 있었던 감정의 응어리 , ‘ 한 ’ 을 해결할 필요가 있는 것입니다 . 

한은 보통 ‘ 맺힌다 ’ 라고 표현하는데 , 

“ 맺힌다 ” 라는 표현은 보통 이슬이 맺히거나 눈물이 맺히는 것처럼

 어떤 한 겹의 커버로 그안에 무언가가 쌓여 있음을 말합니다 .

한 또한 마찬가지로 , 이 맺힌 한을 풀어주는 것이 바로 노년에 해야할 중요한 일입니다 . 

이 노년의 화해 작업으로 인해 더 이상의 한이 없어지는 것이 “ 여한이 없는 ” 상태가 됩니다 .

 

노인들이 보통 과거에 대해 이야기하며 “ 회상 ” 을 하게 되는데 ( 생애 개관 )

보통 일상 가운데 과거 이야기를 반복하는 형태로 나타납니다 .

젊은이들은 이것을 노인들이 시간이 많고 할 일이 없어서 라고 생각하지만 ,

자신의 과거에 대해 자꾸만 거듭해서 언급하면서 감정의 응어리를 푸는 필요한 작업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

이로써 부정적 감정은 긍정적 감정으로 바뀌게 됩니다 . 

한을 풀기위한 중요한 자정작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어느 할머니가 평생 돌아가신 남편의 바람으로 힘들었던 이야기를 결혼한 딸에게 이야기를 했습니다 .

처음에는 딸이 엄마를 공감하였지만 , 이 이야기가 매번 반복되니 딸이 힘들어 졌습니다 .

하루는 “ 엄마 그만해 ! 이제 아버지 돌아가셨잖아 . 이제 마음 좀 편하게 지내세요 ” 라고 하니

엄마는 속상하고 서러워서 말을 못하다가 우연히 한 교회의 노인 모임을 찾아가서 이야기를 하기 시작했습니다 . 

그 모임에서 각자 자기 이야기를 하고 서로 공감하고 위로가 되니 점차 하시는 말씀이 

“ 그래도 우리 영감이 허우대는 멀쩡했어 .. 사람이 마음이 여려서 그랬지 . 꼬리친 여자들이 나쁜 년들이지 .”

라고 이야기하게 되고 미웠던 남편에 대해 무거웠던 마음이 해소가 되면서 , 

이 후 마음이 조금 편하게 남편의 산소를 찾아갈수 있었다고 합니다 .

 

노인들이 똑같은 이야기를 반복할 때 주제는 똑같지만 , 감정의 세기는 점점 잦아들게 됩니다 .

부정적 감정이 줄어들고 긍정적 감정이 올라가게 되지요 .

한이 풀리는 과정입니다 . 평생 객관이라고 굳게 믿었던 자신의 주관이 녹아들게 되는 것입니다 .

그렇게 점차 긍정적인 새 안경을 찾아쓸 수 있게 됩니다 .

하지만 이런 노인을 가까이서 만나는 가족내의 중장년 혹은 젊은이들은 노 인을 이해하지 못합니다 .

중장년의 자녀는 또한 미래의 자신 모습으로 부모를 동일시하기 때문에 더 마음이 힘들기도 한데요,

  노년기의  이런 생애개관 작업에 대해 알게 된다면 조금더 편안하게 노인들을 바라볼 수 있게 될 것입니다 .

 

고려대 심리학과 한성열교수 강의.

최근 많이 읽은 글

(주)한마루 L&C 대표이사 김혜경.
copyright © 2002-2018 82cook.com. All right reserved.